본문 바로가기

99. etc (분류 애매, 작성중)

이진법 (binary)

이진수 관련된 개념이 가물가물해서 다시 정리 하는 목적으로 작성.

 

 

 컴퓨터의 경우 모든 것을 0과 1로 알아듣는다(기계어). 사람이 쓰기는 불편하기 때문에 고급언어나 그에 맞는 언어로 작성하여 이것을 변환 하는 과정을 거쳐서 입력과 출력을 하지만 이진법에 대한 개념은 필수로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개념보다는 일단 내가 요즘 헷갈리는 것들만 간단하게 정리.

 

 

● 1비트(bit)

보통 0과 1을 나타낸다.

bit 이진수
1 1
2 10
3 11
4 100
5 101
6 110
7 111
8 1000

 

1bit당 표현할 수 있는 자리수(0,1)가 늘어난다고 보면 된다.

십진수로 따지면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늘어난다고 이해하면 쉽지 않을까 싶다.

 

ex. 0~63까지 표현이 가능

64가지 => 이것을 이진수로 바꾸면 2^6 (1000000)

65 (1000001)

 

 

  1바이트(byte)

비트가 8개 모인 것 (8bit = 1byte)

 

 

 

 

KB(byte), MB(byte) , GB(byte) 등 단위 경우 이진수로 표현 시 2^10 으로 올라간다.

[공식적인 킬로(klio)의 10^3 개념은 나중에! 여기서는 1024로 설명함.] 

 

 

1KB = 2^10

1MB = 2^20

이런식으로. 

 

ex.

256GB
256 * 2의 30승

 

 

 

 

 

ip의 같은 경우 

0~255 의 숫자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2^8 이 4개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192.168.0.2

 

2^8 . 2^8 . 2^8 . 2^8

 

32bit = 4byte

 




'99. etc (분류 애매, 작성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Batis]CDATA  (0) 2023.12.12
BEM 방법론  (0) 2023.12.05
[CSS]flex  (0) 2023.12.04
01. 자료구조  (0) 2023.11.25
NaN (Not A Number)  (0) 202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