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1. Spring

(6)
[Spring] Redis 연동해보기 로그인 기능 구현 중에 생성한 세션을 서버측 세션 저장소에 보관해야 하는데 여러 방법 중 Redis에 보관 하는 방법에 흥미를 느껴서 실습을 해봤다. Redis 연동 방법을 찾아보니 대게 Spring boot 기준으로 설명이 되어 있어서 좀 애를 먹었지만 여차 해서 성공한 과정을 풀어 써본다. 개발환경 SpringFramework 5.3.18 Maven 추가한 의존성은 다음과 같다. org.springframework.data spring-data-redis 2.6.10 redis.clients jedis 2.10.2 io.lettuce lettuce-core 6.2.4.RELEASE 파일 구성은 다음과 같다. 패키지의 경우 따로 분류하지 않고 같은곳에 몰아넣었다. ㆍRedisConfig.java Red..
[Spring]@RequestBody, @ResponseBody @ResponseBody의 경우 JSON 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많이 사용했던거 같은데 @ReuqestBody는 생소한 느낌이 들어서 봤던 코드들이나 학원에서 했던 프로젝트를 찾아보니 없었다. 개인프로젝트를 하면서 사용한 일이 있어서 간단한 설명과 내가 구현한 코드를 예시로 정리한다. @RequestBody HTTP 요청의 본문(body)을 자바 객체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JSON 형식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자바 객체로 매핑하는 경우에 사용. @ResponseBody 컨트롤러 메서드에서 반환되는 객체를 HTTP 응답 본문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메서드가 반환하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때 사용. 딱히 설명할 것도 없어서 개념만 적었다. 학원에서 부트로 프로젝트 할 때는..
[Spring]Spring MVC ※ 본 내용은 해당 교재를 참고하여 공부한 내용과 본인의 생각을 정리한 글입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62268795 스프링5 프로그래밍 입문 - 예스24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버전업으로 개선된 내용을 담았다. 처음 스프링을 배우고자 하는 독자들이 입문할 때 필요한 것은 스프링의 방대한 내용이 아닌 기초와 전반적인 흐름을 잡아주는 것으로 www.yes24.com 인터넷에 널려있는 내용이기도 하고 복습한다는 생각으로 간단하게 정리. 중앙에 위치한 DispatcherServlet은 모든 연결을 담당한다. ①웹 브라우저로부터 요청이 들어오면 DispatcherServlet은 그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검색한다. 이때 DispatcherServlet은 직접 컨..
[Spring]web.xml 머리속에 있던 Spring MVC를 그림으로 나타냈다. ⑥ View의 경우 View Resolver와 합쳐서 설명하는 곳도 있다. web.xml은 파일 이름 그대로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하여 request가 들어왔을때 어떻게 처리해 줘야 할 지 설정을 할 수있다. 위에 그림에서는 ① 상황. 이제 하나씩 살펴보자. (구성의 경우 내가 보거나 사용했던 태그들 위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없는 내용이 있을수 있다) ● xml 파일이라고 선언하는 부분. encoding은 UTF-8로 설정되어 있다. ● 태그는 web.xml파일의 루트 요소로, 웹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정보와 설정을 포함한다. version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Java EE 버전을 나타내며, xmlns와 같은 다양한 속성은 XML 네임스페이..
[Maven]pom.xml 메모장에 정리해놨던 내용 긁어옴 ㆍProject Object Model 프로젝트의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객체 모델 프로젝트 관리 및 빌드에 필요한 환경 설정, 의존성 관리등의 정보들을 기술. ● pom.xml 최소한의 구성 4.0.0 org.example maven-pom-project 1.0-SNAPSHOT 메이븐이 허용한 최소값. (project, modelVersion, groupId, artifactId, version) ㆍ -프로젝트의 정보를 기술 ㆍ -maven의 pom.xml의 모델 버전 Maven 1.x 버전들은 3.0.0 모델을 사용하였지만, Maven 2.x , Maven 3.x 는 4.0.0버전을 사용 ㆍ -프로젝트를 생성한 그룹명으로 제작자와 회사, 단체 등을 식별하기 위한 ..
Spring 카테고리 맨 처음 접했던 것은 국비학원에서 배운 Spring Boot(이하 부트) 였다. 저번 수업까지는 Spring Framework(이하 레거시)로 했다던데 우리때부터 부트를 써서.. 그래서 왜 이게 이렇게 되는거지 해서 찾아보면 다 레거시 관련 개념이였다. 회사가 공공쪽 프로젝트를 하고 지금 PL급 사람들이 레거시만 몇십년 썼을텐데 부트로 코드를 짤 것 같지도 않고 해서 학원에서 프로젝트 했을때를 제외하면 계속 레거시를 사용해왔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레거시를 공부하고 부트를 하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부트부터 공부해서 파고들면 결국 레거시쪽도 다시 봐야하기 때문에. 여튼 그래서 여기서는 보통 레거시 기준으로 개념 및 알고 있는 내용들을 정리하려고 한다. 스프링의 경우는 다른것처럼 따로 정리해둔 것이 없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