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에 적혀있긴 한데 어떻게 하다가 알게 됐는지는 모르겠다. 아마 이것도 리액트 강의 듣다가 알게 되어서 정리한 것 같다.
● Array.from()
배열 또는 유사 배열 객체에서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는 메소드이다. 이 메소드를 사용하면 이터러블 객체, 문자열, 맵, 셋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배열로 변환할 수 있다.
해당 메소드는 세 개의 파라미터를 받는다.
ㆍiterable
배열로 변환하려는 대상인 반복 가능한(iterable) 객체나 유사한 객체이다. 이 객체의 각 요소는 배열의 요소로 복사된다.
ㆍ mapFunction (선택 사항)
배열의 각 요소를 변환하기 위한 함수이다. 이 함수는 각 요소에 대해 호출되며, 변환된 값을 반환한다. 이 파라미터는 선택 사항이며,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ㆍ thisArg (선택 사항)
mapFunction 내에서 this로 사용될 객체를 지정한다. 이 파라미터 역시 선택 사항이며, 필요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head>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const iterable = [1, 2, 3, 4, 5];
//각 요소를 제곱하고, thisArg를 사용해 this를 설정.
function mapFunction(x) {
return x ** 2 + this.value;
}
let thisArg = { value: 10 }; // 함수 내에서 사용할 this 객체
let newArray = Array.from(iterable, mapFunction, thisArg); //[11, 14, 19, 26, 35]
//위와 똑같은 결과
let newArray2 = Array.from(iterable, (x) => { return x ** 2 + 10 }); //[11, 14, 19, 26, 35]
console.log(newArray);
console.log(newArray2);
</script>
</body>
</html>
'02. JavaScript > 99.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History API (0) | 2023.12.02 |
---|---|
[JavaScript]Array.prototype.find() (0) | 2023.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