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2. JavaScript/01. 기본개념, 문법 (ES6)

JavaScript_03. 내장 객체_Number

※ 본 내용은 해당 교재를 참고하여 공부한 내용과 본인의 생각을 정리한 글입니다.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05608999

 

바닐라 자바스크립트 - 예스24

실무 역량까지 한 번에 잡을 수 있는바닐라 자바스크립트 이론서자바스크립트는 이제 브라우저를 넘어 웹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마이크로 컨트롤러까지 점점 사용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www.yes24.com

 

 

 Number 객체는 숫자를 다룰 때 유용한 프로퍼티와 함수를 제공하는 래퍼(wrapper) 객체이다. 래퍼 객체란 이름처럼 원시 타입의 값을 감싸는 형태의 객체이다. 

 

 

● toString()

 숫자형 데이터를 문자형 데이터로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toExponential()

 숫자를 지수형으로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toFixed()

 소수점 몇 번째 자리까지 보여줄지를 결정하는 함수이다.

 

toPrecision()

 정수와 소수를 포함해서 몇 번째 자리까지 보여줄지를 결정하는 함수이다.

 

● parseInt()

 전역 함수로서 정수를 반환. 문자열의 시작이 숫자형이면 숫자형 데이터를 반환.

 

parseFloat()

 전역 함수로서 부동소수점으로 반환.

 

 

Number 객체 프로퍼티

property 설명
Number.MAX_VALUE 자바스크립트에서 다룰 수 있는 최대 수
Number.MIN_VALUE 자바스크립트에서 다룰 수 있는 가장 작은 수
Number.POSITIVE_INFINITY Infinity
Number.NEGATIVE_INFINITY -Infinity
Number.NAN Not-a-Number

 

 

<!DOCTYPE html>
<html>

<head>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let y = 123;
        y.toString(); // 문자 타입 123
        (123).toString(); // 문자 타입 123

        var x = 10.656;
        console.log("x = " + x);
        console.log("=====================toExponential()=====================");
        console.log("x.toExponential(2) = " + x.toExponential(2));
        console.log("x.toExponential(4) = " + x.toExponential(4));
        console.log("x.toExponential(6) = " + x.toExponential(6));

        console.log("=====================toFixed()=====================");
        console.log("x.toFixed(0) = " + x.toFixed(0));
        console.log("x.toFixed(0) = " + x.toFixed(2));
        console.log("x.toFixed(0) = " + x.toFixed(4));

        console.log("=====================toPrecision()=====================");
        console.log("x.toPrecision() = " + x.toPrecision());
        console.log("x.toPrecision(2) = " + x.toPrecision(2));
        console.log("x.toPrecision(4) = " + x.toPrecision(4));

        console.log("=====================parseInt()=====================");
        console.log("parseInt('-10') = " + parseInt('-10'));
        console.log("parseInt('-12.33') = " + parseInt('-12.33'));
        console.log("parseInt('-10') = " + parseInt('10'));
        console.log("parseInt('-12.33') = " + parseInt('12.33'));
        console.log("parseInt('10 20 30') = " + parseInt('10 20 30'));
        console.log("parseInt('10 years') = " + parseInt('10 years'));
        console.log("parseInt('years 10') = " + parseInt('years 10'));

        console.log("=====================parseFloat()=====================");
        console.log("parseFloat('10') = " + parseFloat('10'));
        console.log("parseFloat('12.33') = " + parseFloat('12.33'));
        console.log("parseFloat('10 20 30') = " + parseFloat('10 20 30'));
        console.log("parseFloat('10 years') = " + parseFloat('10 years'));
        console.log("parseFloat('years 10') = " + parseFloat('years 10')); 
    </script>
</body>

</html>

cons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