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점 명확하게 궁금해서 찾아봤던 내용.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리소스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일반적인 형식의 식별자이다. URI는 다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낸다.
●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URL은 특정 리소스의 위치를 지정하며, 웹 주소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이다. URL은 프로토콜(예: http, https, ftp 등)을 포함하여 리소스의 위치를 명시한다.
URL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https://studyingdk.tistory.com:8080/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2Fmanage#test1
(표기 및 구분자도 같이 포함하여 설명)
https://
ㆍProtocol
리소스를 호스팅하는 서버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를 나타낸다. 이는 일반적으로 IP 주소로 매핑되어 있으며,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웹 사이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studyingdk.tistory.com
ㆍDomain (host)
리소스를 호스팅하는 서버의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를 나타낸다. 이는 일반적으로 IP 주소로 매핑되어 있으며, 사람이 읽기 쉬운 형태로 웹 사이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8080
ㆍPort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데 사용하는 네트워크 포트를 나타낸다. 보통 HTTP의 기본 포트는 80 이고, HTTPS의 기본 포트는 443 이다.
/manage/newpost
ㆍPath
웹 서버의 디렉터리 구조나 파일 경로를 나타낸다. 요청한 리소스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지정한다.
?type=post&returnURL=%2Fmanage
ㆍQuery String
웹 서버에 전달되는 추가적인 매개변수나 데이터를 나타낸다. 주로 검색어, 페이지 번호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test1
ㆍFragment
URL의 끝에 #으로 시작하며, 문서나 리소스 내에서 특정 위치를 가리키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브라우저에서는 페이지를 로드한 후에 이 플래그먼트를 사용하여 특정 위치로 스크롤하게 된다.
요약하면, URI는 리소스를 식별하는 일반적인 개념을 나타내며, 그 중에서도 URL은 리소스의 위치를 지정하는 형태의 식별자이다.
● URN (Uniform Resource Name)
URN은 리소스의 이름을 나타내며, 리소스의 위치가 아닌 유니크한 이름을 사용하여 식별한다. 리소스의 위치나 접근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구조는 다음과 같다.
urn:<namespace>:<identifier>
ㆍurn
URN이 시작됨을 나타낸다.
ㆍ<namespace>
URN이 속하는 네임스페이스(namespace)를 나타낸다. 네임스페이스는 URN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일종의 접두어이다.
ㆍ<identifier>
리소스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식별자이다. 네임스페이스 내에서 고유해야 한다.
ex.
urn:isbn:0451450523
ISBN 번호에 대한 URN이다.
'12. Data Communacatio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많이 들어본 API(Applicataion Programming Interface) (0) | 2023.12.04 |
---|---|
데이터 통신 알고 있으면 좋은거? (0) | 2023.12.01 |